해양환경단체 핫핑크돌핀스는 2021년 1월 19일과 1월 20일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신도리 해안에서 토종 돌고래 상괭이 사체 두 구를 발견했습니다.
첫번째 발견한 상괭이는 크기 136cm, 폭 36cm 이고 이미 죽은지 시간이 오래되어 부패가 진행중인 상태였습니다. 주둥이 부분이 떨어져나갔고, 부패가 심해 암수 구분도 어려웠습니다.
두번째로 발견한 상괭이는 훨씬 작은 개체였는데, 크기 65cm, 폭 25cm 으로 머리 부분은 완전히 없고, 몸통과 꼬리만 남은 상태였습니다. 두 번째 사체 역시 부패가 심해서 암수를 구분할 수 없었으며, 두 개체 모두 사인을 밝히기 어려웠습니다.
해양보호생물 상괭이가 죽은 이유가 그물에 혼획된 질식사인지, 질병에 의한 병사인지 또는 사고사인지 등을 알면 상괭이 보전 대책 마련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이번 경우는 사체 상태로 보아 사인을 밝히거나 연구를 위한 보존의 가치가 없었습니다.
핫핑크돌핀스는 상괭이 사체 발견 이후 곧 해경에 연락을 했고, 출동한 해경은 절차에 따라 조사를 진행한 뒤 상괭이 사체를 대정읍사무소에 연락하여 폐기 조치했습니다.
현재 제주 해안에는 바다에서 떠밀려온 해양쓰레기와 함께 괭생이모자반이 수북하게 쌓여 썩어가고 있습니다. 괭생이모자반에 온갖 해양쓰레기들까지 뒤섞여 악취가 나는 가운데 상괭이 사체까지 떠밀려 오니 청정 제주 바다는 온데간데 없습니다. 기후위기 시대, 우리 바다는 얼마나 몸살을 앓고 있는 것일까요?
위 사진은 모두 2021년 1월 20일 핫핑크돌핀스가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해안에서 해양환경단체 핫핑크돌핀스가 촬영한 괭생이모자반 더미와 여기에 얽혀 있는 해양쓰레기와 폐어구들의 모습입니다. 일과리, 영락리, 무릉리, 신도리 등 서귀포시 대정읍 갯바위 해안 일대에도 괭생이모자반과 해양쓰레기들이 엉켜서 썩어가며 악취를 풍기고 있습니다.
언론에 보도된 내용을 보면 괭생이모자반은 제주시 한경면에서 구좌읍 월정리에서 발견된다고 하지만, 핫핑크돌핀스가 현장을 확인한 결과 제주 서남부 해안인 대정읍 일대에서도 광범위하게 괭생이모자반이 발견되었으며, 해안가를 뒤덮은 엄청난 양 때문에 환경단체의 자원봉사만으로는 도저히 수거할 수가 없는 상황입니다.
2021년 1월부터 제주 해안에 밀려들어온 괭생이모자반과 해양쓰레기로 청정 제주 해안은 지금 악취가 풍기는 쓰레기 더미에 점령되었습니다.
'폭설'과 '북극한파'에 이어 해안가를 점령한 '괭생이모자반'과 '해양쓰레기'까지 올해는 시작부터 이미 기후위기를 보여주는 여러 증상들로 지구가 몸살을 앓고 있음이 나타납니다. 밀려드는 쓰레기와 이상기후 그리고 죽어가는 해양동물 등, 한반도 해역의 상황은 심각해지고 있습니다.